무역업무
무역 용어 정리 (수입, 수출, 선적, 항송)
병통
2023. 10. 1. 16:49
무역 회사에서 근무 중입니다만, 제 전공은 무역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사소한 업무 하나하나 파악하기가 너무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래서 제가 자주 쓰는 단어와 용어들을 계속해서 추가해나가며 해당 게시글을 진행해나갈 예정입니다.
해당 게시글이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비전공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ETD (Estimated Time of Departure): 출발 예정 시간을 나타냅니다. (부산항에서 출발하는 시간)
- 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도착 예정 시간을 나타냅니다. (배가 도착하는 시간)
- FOB (Free On Board): 판매자는 제품을 선적 항구에 배치하고, 운송비용은 구매자가 부담하는 무역 조건입니다.
제가 담당하는 곳은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거의 해당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 FOC (Free of Charge): 무료로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며, 무역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공장 측에서 소량으로 요청을 진행하며 재고가 있을 시 내부적으로 논의 후 제공 중에 있습니다. - CIF (Cost, Insurance, Freight): 상품의 가격에 운송비 및 보험료를 포함하여 판매하는 무역 조건입니다.
- EXW (Ex Works): 판매자는 제품을 자신의 공장이나 창고에서 구매자에게 제공하며, 운송비용 및 책임은 구매자에게 있습니다.
- C&F (Cost and Freight): 상품의 가격에 운송비를 포함하여 판매하는 무역 조건으로, 보험료는 구매자가 부담합니다.
- DAP (Delivered at Place): 판매자는 상품을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운송비용 및 위험은 구매자에게 전이됩니다.
- DDP (Delivered Duty Paid): 판매자가 상품을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관세 및 세금을 포함한 모든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 Customs Clearance (통관): 수출이나 수입 상품의 통관 절차를 완료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Bill of Lading (B/L): 화물 운송과 관련된 중요한 운송서류로, 상품의 소유권과 운송 조건을 나타냅니다.
- PO (Purchase Order): 구매 주문서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사용하는 문서입니다.
발주서 자체를 "PO"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Tariff (관세): 국가 간의 상품 거래에서 부과되는 세금이나 수수료를 나타냅니다.
- Dumping: 다른 국가 시장에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하여 시장을 뒤집는 것을 의미합니다.
- SM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소규모 및 중소기업을 나타냅니다.
- VAT (Value Added Tax): 부가가치세를 나타내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에 추가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 Proforma Invoice: 실제 청구서가 아닌, 상품의 예상 가격이 포함된 일종의 견적서를 나타냅니다.
- Trade Agreement: 국가 간의 무역 협정 또는 계약을 나타냅니다.
- MOQ (Minimum Order Quantity): 최소 주문 수량을 나타냅니다.
- COO (Certificate of Origin): 제품의 원산지를 증명하는 문서를 나타냅니다.
- Gross Weight: 제품의 총 무게를 나타냅니다.
air로 발송하는 경우 무게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 입니다. - Net Weight: 제품의 순중량을 나타냅니다.
발송 후 순중량을 기록해야하는 업무가 있기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 HS Code (Harmonized System Code): 물품을 분류하는 국제적인 표준 코드 시스템입니다.
- 수출 면장 : 수출면장은 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문서로, 수출시에 수출상이 수출 품목, 수량, 가격, 운송 조건 등을 기재하여 관련 기관이나 상대 국가의 통관 당국에게 제출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수출 품목의 세부 정보와 함께 수출 거래의 합법성을 입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출면장은 국제 무역에서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문서 중 하나로, 정확하고 완벽하게 작성되어야 합니다.
수출면장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1. 출하자 정보 : 수출하는 기업이나 개인의 상호, 주소, 연락처 등의 정보
2. 수출 품목 정보 : 수출하는 상품의 세부 사항, 품명, 수량, 가격, 중량 등
3. 운송 정보 : 수출 상품의 운송 방법, 운송 수당, 출발지 및 도착지, 운송 비용 및 운송 일정
4. 통과 및 과세 정보 : 통관을 위해 필요한 서류, 관세 및 서금에 관한 정보
5. 반출품목신고번호 : 국내에서 관세펑에 제출한 반출 신고서의 번호
6. 판매조건 : 무역 조건에 대한 정보 (FOB, CIF 등) - AIR CC (Airfreight ColleCt) - 물품을 항공으로 운송할 때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운송비를 수신자가 부담하고, 수신지 도착 시 수신자가 이를 지불하는 형태로 처리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운송과 관련된 비용을 최종 수신자가 처리하도록 하는 항공 운송의 지불 방식 중 하나입니다.
- HC CC (Hand Carry ColleCt) : 물품이 항공 운송 중에 손수 운반되며, 도착지에서 물품을 받는 수신자가 운송비 및 기타 비용을 부담하고 지불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수신자가 도착지에서 물품을 수령할 때 운송비 및 기타 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 AIR PP(Airfreight PrePaid) - 항공 운송을 이용하며 운송비가 선납(Prepaid)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상품이 항공으로 운송되면서 운송비가 미리 지불되었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 HC PP(Hand Carry PrePaid) : 특히 긴급하거나 중요한 물품에 적용되며, 이러한 물품을 손수 운반하여 미리 지불된 운송비를 포함하여 운송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방법은 물류 및 운송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안전하고 신속한 배송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발송하고자 하는 물건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 AIR PP로 보낼 떄 보다 저렴할 때가 있습니다. 주로 100kg 이하일 경우 AIR PP 보다 HC PP로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컨테이너와 관련된 용어
- CBM (Cubic Meter):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단위로, 1미터 x 1미터 x 1미터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 TEU (Twenty-foot Equivalent Unit): 컨테이너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20피트 컨테이너 하나의 크기를 기준으로 한 표준화된 단위입니다.
- FEU (Forty-foot Equivalent Unit): 20피트 컨테이너의 두 배인 40피트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 Container Yard (CY): 컨테이너를 보관하고 처리하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자재를 부산항과 같은 입고지로 가져가서 선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Container Freight Station (CFS): 컨테이너화된 화물을 적재하거나 언로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 Less than Container Load(LCL) : 부분적재화물, 한 개의 컨테이너를 완전히 채우지 못하는 물량이며 다른 LCL화물과 혼재되어 CFS에서 컨테이너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ex ) 사하구의 섬유 회사, 강서구의 철강 회사, 해운대구의 건설 회사는 인도네시아로 자재를 보내고자 하는데 수량이 많지 않다. 그래서 업체들은 협의를 통해 남포동에 대기 중인 컨테이너 1개에 함꼐 선적 후 발송하기로 한다. 정해진 시간 내 각자 입고를 한 후, 컨테이너 째로 부산항에 입고 한다. - Full Container Load(FCL) : 완전 적재 화물. 한개의 컨테이너를 완전히 채운 화물을 의미합니다.
어느 한 지점에서 컨테이너 선적을 진행할 때, "금일 선적 FCL로 진행 예정이다." 라고 하기도 합니다. - Containerization: 상품을 컨테이너에 실어 교통 및 보관에 용이하게 하는 무역 방법을 나타냅니다.
- Container Ship: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을 나타냅니다.
- Intermodal Transportation: 여러 종류의 운송 수단을 활용하여 상품을 운송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Container Chassis: 컨테이너를 싣고 운반하기 위한 차량의 하부 구조를 나타냅니다.
- Container Seal: 컨테이너의 봉인된 상태를 나타내는 보안 장치를 의미합니다.
-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를 적재, 언로딩하고 보관하는 항구 시설을 나타냅니다.
-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언로딩하기 위한 기계 및 장비를 나타냅니다.
- Dry Container: 기본적인 컨테이너로, 특별한 온도나 습도 제어 기능이 없는 컨테이너를 나타냅니다.
- Reefer Container: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여 냉동 또는 냉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나타냅니다.
- Flat Rack Container: 측면이 없는 상단이 열린 컨테이너로, 크기가 크거나 불규칙한 상품을 적재할 때 사용됩니다.
- Tank Container: 액체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컨테이너로, 내부에 탱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Container Depots: 컨테이너를 보관하고 유지하는 시설을 나타냅니다.
- ISO Container: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표준화한 컨테이너를 나타냅니다.
- Transloading: 상품을 컨테이너에서 다른 수송 수단으로 옮기는 것을 나타냅니다.
- Container Tracking: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및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Containerized Cargo: 컨테이너에 실려 운반되는 화물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