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R Studio
안녕하세요 !
고통 받는 병통입니다.
오늘은 R 과 R 스튜디오에 대해 설명 드릴려고 해요
저도 처음 접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오늘 설치와 간단한 설명을 한 다음
저도 다음주 수업을 듣고 바로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R 이란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최근에 R의 사용이 늘어남으로 데이터의 다양성이 늘어나고 양도 많아졌기 때문에 R 하나만 잘 다루면 어떤 형태의 데이터를 지유롭게 분석할 수 있다고 해요!
지도 시각화. 주식 분석. SNS분석, 이미지 와 사운드 분석은 물론 웹 애플리케이션 개 등등 많은곳에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사용이 일어나고 있다고 해요!
다른 분석 프로그램은 하락하는 반면 황금색의 R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어요
프로그램이 무료인 점이 아무래도 큰 이점을 발휘하고 있는거같아요!
R을 사용하는 기업도 많아 지고 있습니다
구글과 페이스북 MS 등 세계적인 기업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MS는 2015년 1월,R 데이터 기반 분석 도구 Revolution R을 개발한 레볼루션 애널리틱스 사를 인수하고,
얼마후 Microsoft R Open 이라는 R기반 데이터 분석 도구를 내놓기도 하였습니다.
R이 인기가 많고 사용량이 급증하는 이유는 첫번째 무료이기 때문입니다. 무료이기 떄문에 사용자가 많고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자료가 많고, 자료가 많기 때문에 다양성이 존재 하고 있습니다.
매해 R에 증가하는 페키지의 수 입니다. 2016년 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쭉 R의 사용은 계속 늘어날것 같습니다.
무료고 사용자가 많다고 자료가 허술하다는 생각은 오산!!!!
전문적인 데이터 분석까지 할수 있는 프로그래밍 방식인 GUI방식과 프로그래밍 방식이 있습니다.
GUI방식은 엑셀이나 SPSS처럼 화면의 메뉴와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면서 작업하는 형태 입니다. 비유로 들자면 사용하기 쉽지만 고품질의 사진을 찍기 어려운 2g 폰일것 같아요 ㅋㅋ
프로그래밍 방식은 R이나 SAS처럼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면서 작업하는 형태를 말해요. 비유로 들면 분석 도구의 사용은 상대적으로 어렵지만 고화질의 사진을 찍을수 있는 DSLR 같은 존재죠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R이 배우고 나면 그만큼 강력한 분석 능력을 가질수 있을거 같다는 느낌이 들어요!!
자 이제 R을 다운 받아 볼까요??
https://cran.r-project.org/mirrors.html
접속 해서 스크롤을 내리면 한국이 있습니다.
제일 첫번째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자신의 사양에 맞는 다운로드 방식을 클릭하여 주새요.
다운로드를 누릅니다. 자신의 컴퓨터 사양을 보고 32비트인지 64비트 인지 확은해주세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을 눌러 자신 컴퓨터의 비트를 확인 해주세요!
그위 R을 실행하고 켜보면
이런 창이 뜨게 됩니다. 파란색 글씨는 설명이고 저희는 빨간 화살표부터 작성이 가능합니다
동영상 링크를 확인하시면 간단하게 연산이 되는거까지 확인하는게 이번주 계획입니다.
다음은 R Studio 다운로드 입니다
https://rstudio.com/products/rstudio/download/
링크에 들어가셔서 스크롤을 내리시면
올 인스톨러스! 를 찾아주시고 사양에 맞는걸 다운로드 해주시면 완료입니다!
저는 첫번째 꺼를 다운받았어요!
R Studio와 들어갔을때 기본 자료 입니다.
그리고 밑에 제가 친 동그라미를 클릭해 주세요
그럼 창이 하나 더 열릴텐데 저희는 항상 창 4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소스창 콘솔창 환경창 파일창 이렇게 4가지로 구성되게 됩니다.
소스창을 공식을 저장하는곳인거같아요
소스창에 치고 엔터를 누르면 답이 바로 나오지 않아요
컨트롤 엔트를 해야 콘솔창에 답이 출력됩니다.
콭솔창은 R과 똑같이 공식을 적고 엔터를 누르면 바로 계산이 되는곳입니다.
환경창은 제가 지정한 값이 나오는곳입니다.
소스창에 제가 a<- 1 이면 a는 1임을 환경창에서 알려줍니다.
b<-2 이면 환경창에 b가 2 임을 알려주겠죠??
그리고 콘솔창에 가서 a+1을 치면 2가 나오고 b+4를 치면 6이 나온답니다!
마지막으로 파일창은 제가 가진 파일을 알려주는 말그대로 파일창입니다.
오늘은 다운로드와 구성 까지 알아봤고 저희는 갈길이 너무나도 머네요 ㅠㅗㅠ
데이터 분석은 언제 할수 있을지 ㅠㅠㅠㅠㅠㅠ
고통받으면서 열심히 해나가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고통받는 병통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