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은 꾸준히 하고 있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1년간 올리지 않았네요.
그동안 많이 응용할줄 아는것도 늘어난것은 분명하지만 아직도 저는 제자리에 불과하네요
조금 더 불태우며 다시금 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제목 그대로 R에서 반복문을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해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크게 반복문은 for 과 while가 있습니다
오늘은 while을 해보고 다음시간에 for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복문에서 가장 간단하게 하는것은 역시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하는 것이겠죠?
1부터 100이 모두 중첩되는 과정을 겪어야하기에 이런 경우 반복문은 유용하게 사용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여러분 이렇게 한번 해보시겠어요?
그러면 1부터 100까지의 합이 일일이 다 찍힐거에요
100개의 숫자가 다 나오는것이죠.
차근차근 분석해 나가면 sum은 합계를 뜻하는 변수
i는 더해야하는 숫자, 즉 몇번째 숫자인지도 의미하는 숫자 이겠죠?
while -> 반복은 하는데 () 여기 안에 조건을 적어줘야해요
while(i < 100) -> i가 100 미만일때까지 반복한다는 반복문입니다.
i <- i + 1 -> 하나하나씩 커져야하기에 +1을 해주며
sum <- sum + i -> sum의 값과 i의 값을 함께 중첩시켜줘야하기 위해 적어주는 식입니다.
자 하나하나 풀이를 다 해보았으니 매번 매번 찍히는 print 말고
마지막 1부터 100까지의 합을 의미하는 5050이 찍히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마 while문 안에 print가 계속 있다면 100가 다 출력 되고 말거에요.
그러므로 while문 밖에 print를 적어서 한번 다시 확인해 주는 방법이 제일 간단한 방법이 될것 같아요.
이렇게 적으면 마지막 값인
100까지의 합 5050만 찍힐것 같은데
여러분도 해보셨나요?
이러한 반복문이 없었더라면 우리는 일일이 코드를 다치고 똑같은 명령어를 복사 붙여넣기 해야할거에요.
반복문을 통해 8줄로 100까지의 합을 구했지만
반복문이 없었더라면 1부터 3까지의 합을 구하는데도
11줄을 사용해야하는 일이 생겼을테니까요..!
아 ! 그리고 R에서는 2개 이상의 변수를 출력하고 싶다면
print()를 사용하는것이 아닌
cat() 을 사용해야한다고 해요!!!
하나만 더 해볼게요.
while문을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 출력하는 내용을 적어볼 수 있을까요?
.
이제는 쉽게 1부터 10까지의 출력을 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1가지를 추가하여 반대로 출력하기를 할 수 있으신가요?
1~10이 출력됬지만
10~1이 출력되게 말이에요.
저도 수업시간에 이 부분을 하면서 너무 당황스러웠어요.
그리고 생각의 전환이 중요한 프로그래밍에서 조금 뒤쳐지는것 아닌가 생각했지만
경험의 차이라 생각하며 부족함을 깨닫고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려고 마음을 잡았습니다..
출력하는 부분에 무언가를 추가하면 된다는 힌트를 듣고 아! 를 외쳐버렸습니다.
진짜 허무했지만...!
이런게 바로 생각의 전환이라 생각하며..!
수업을 해주시는 교수님도 이러한 부분이
차후에 프로그래밍을 할때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하셨습니다!
반대로 하는 식도 적어볼까요?
10부터 1까지 출력하는 문에서도 똑같이
11 - 를 추가하며
1부터 10까지의 출력문으로!!!!
오늘은 간단하게 while를 사용해보았습니다
여러분들도 쉽게 할 수 있으며 차근 차근 심화과정가지 같이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화이팅
'R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중 원하는 부분만 끌어와서 시각화 자료 만들기 (0) | 2022.01.14 |
---|---|
결측치, 이상치,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 (1) | 2021.08.22 |
웹 크롤링 (0) | 2021.08.19 |
R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R studio (2) (1) | 2020.04.06 |
R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R Studio (1) | 2020.03.23 |